자신의 연봉별 실수령액을 계산해보자.(4대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계산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봉별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근로소득이 발생하게 되면 이 소득 내에서 4대보험 및 소득세(+지방소득세)를 제외한 금액이 실제로 자신이 수령하는 금액입니다. 이 계산이 복잡하다고 느끼는 분들을 위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 예정이니 편하게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연봉별 실수령액이란?
2. 4대보험료율
3. 소득세, 지방소득세
4. 연봉별 실수령액
5. 글을 마무리하며...
1. 연봉별 실수령액이란?
직장인들은 근로를 통해서 소득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월마다 또는 상황에 따라 주마다 수령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금액을 순전히 100%를 수령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월 급여에서 4대보험료,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를 제외한 금액을 수령하게 됩니다. 이렇게 4대보험과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를 제외하고 수령하는 금액을 실수령액이라고 합니다.
이 실수령액은 세전, 세후 월급, 연말정산 세금계산, 소득공제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는 지표이며, 실제로 자신이 소비할 수 있는 금액이므로 항상 체크를 해두고, 변동 상황에 대비하는 저축에 대한 기준도 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곳에서 활용되는 지표이므로 계산이 정확하게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 알아둔다면 재정계획을 세우는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2. 4대보험료율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노인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구성된 4대보험의 보험료는 근로자가 전액을 부담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와 각각 절반을 부담하게 됩니다. 이 중 산재보험료의 경우 근로자가 아닌 사용자가 전액을 납부하게 되어있으므로 우리가 알아야 할 보험료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이렇게 4가지입니다.
* 추가적으로 건강보험 안에 노인장기요양보험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노후시기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4대보험료율 상세>
구분 | 전체 | 근로자 | 사용자 |
국민연금보험료율 | 9% | 4.5% | 4.5% |
건강보험료율 | 7.09% | 3.545% | 3.545% |
노인장기요양보험료율 | 0.9082% | 0.4541% | 0.4541% |
고용보험료율 | 1.8% | 0.9% | 0.9% |
산재보험료율 | 사용자 부담(업종별 상이하며, 평균적으로 1.43%) |
위의 표는 4대보험 각각의 보험료율을 알아보기 쉽게 정리해 놓은 표입니다. 근로자 기준으로 국민연금보험료율은 4.5%, 건강보험료율은 3.545%, 노인장기요양보험료율은 0.9082%, 고용보험료율은 0.9%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요율을 급여액에 곱하고, 소득세율까지 곱하여 공제된 금액을 제외한 금액이 실수령액이 됩니다.
3. 소득세, 지방소득세
소득세율은 매월 근로자가 수령하는 급여에서 4대보험료와 마찬가지로 원천징수되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상세하게 계산하기 어려워 소득세법 시행령에서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통해서 소득세를 정하고 해당 금액의 10%를 지방소득세로 보고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더한 금액을 원천징수하게 됩니다.
이렇게 간이세액표로 징수된 소득세가 부족한지 아니면 더 많이 징수되었는지 매년 말마다 확인하여 과징수 된 경우 환급하고, 부족하게 징수된 경우 추가적으로 납부하는 절차가 있는데 다들 알고 계시는 것처럼 이를 연말정산이라고 부릅니다. 연말정산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밑에 관련 포스팅을 남겨놓았으니 한번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3년 연말정산 개정된 소득공제, 세액공제 완벽 파악하기 – 연말정산 세금계산 과정, 근로소득공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야기해보자면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제공하고 있고, 간편하게 계산까지 할 수 있으므로 한번 활용해 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4. 연봉별 실수령액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연봉별 실수령액을 알아보기 쉽게 표로 만들어보았습니다. 이 표는 실제금액과 오차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확인 부탁드리고, 이 포스팅 내의 모든 자료 및 글은 제가 직접 만들고 정리한 자료이므로 무단복제, 불펌 등 모든 지적재산권 침해행위 일체를 금지합니다.
<연봉별 실수령액 - 비과세 금액이 없는 경우>
<연봉별 실수령액 - 비과세 금액 식대 25만원 포함>
월 급여별로 실수령액을 정리한 표입니다. 월급여가 250만 원인 경우 실수령액은 2,225,863원, 300만 원인 경우 2,636,242원, 350만 원인 경우 3,031,090원 400만 원인 경우 3,408,480원, 450만 원인 경우 3,787,917원, 500만 원인 경우 4,161,028원으로 계산되었습니다.
두 표중 밑의 표는 대표적인 비과세 금액인 식대를 제외한 소득에서 공제된 금액을 기준으로 실수령액을 계산한 표입니다. 일반적으로 비과세 금액은 개인별로 소비행태 등에 따라 다르게 산정되므로 위 표의 수치와 다르게 계산될 수 있는점 유의해주시길 바랍니다.
5. 글을 마무리하며...
오늘은 연봉별 실수령액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받는 월급여가 실제로 어떤 계산과정을 통해서 지급되는 건지 궁금하신 분들도 있을 것이고,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분들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이렇게 월급여가 공제과정을 통해서 실제로 수령하는 금액이 도출되는 것이므로 실수령액에 관심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관리한다면 연말정산과정에서 소득공제, 세액공제 등에서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은 여기서 글을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