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청년희망적금 연계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

※↔§↔※★ 2023. 12. 10. 01:22
반응형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을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하는 부분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에 다루었던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에 대해서 청년도약계좌로 연계가 가능한 것이 기획재정부 전체회의에서 11월 30일 자로 공식적으로 의결되었기에 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2년 동안 기다린 청년희망적금을 더 불릴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연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청년도약계좌 연계란?

2. 청년도약계좌란? (정부기여금)

3.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연계시 만기금액

4. 글을 마무리하며...

 

1.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청년도약계좌 연계란?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청년도약계좌에 중복가입이 불가능했지만 기획재정부에서는 11월 30일 전체회의를 통해서 청년희망적금의 만기금액을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을 허용하는 세법개정안을 의결하였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제가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에 대해서 자세하게 다룬 포스팅이 있는데 먼저 읽어보시고 이 포스팅을 읽어주시면 이해하기 더욱 수월하실 겁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저축장려금, 수령액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저축장려금, 수령액

2년 전 가입한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을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에 대해서 분석해 보려고 합니다. 벌써 해당 상품에 가입한 지 2년이 다 되어갈 겁니다. 시

ddogddi30.tistory.com

 

결론적으로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은 월 50만 원 2년 납부한 경우 금리 6%를 기준으로 13,110,000원을 만기금액으로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이 금액을 년도약계좌로 연계하고 싶다면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자가 직접 해지일이 속하는 달에서 다음 달까지 청년도약계좌를 가입 신청하면 됩니다.

 

이 과정에서 가입신청 당시를 기준으로 최초 2년 동안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을 포함한 최대 1,680만 원을 일시납입할 수 있는데 이는 70만 원 * 24개월을 계산한 수치이며, 최대 24개월을 인정해 준다는 의미입니다. 뉴스나 기사에서 말하는 1,260만 원은 70만 원 * 18개월을 의미하며,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13,110,000원에서 추가적으로 1,680만 원까지 인정해 준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1,260만 원으로 일시 납입한다는 조건으로 청년도약계좌를 가입 신청한다면 납부는 19개월 차부터 인정이 되는 방식입니다. 대신 청년도약계좌 연계 가입 후 30일 이내에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의 60% 이상을 납입해야 한다는 조건이 걸려있습니다.

 

2. 청년도약계좌란? (정부기여금)

청년도약계좌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청년층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이며, 만기(5, 60개월)까지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하고,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희망적금과 마찬가지로 비과세 상품이며, 만기 시 최대 약 5,000만 원까지 수령이 가능한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요약>

 

구분 내용
지원대상 - 19~34세 청년 중에서 (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 총급여액 7,500만 원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에 해당하는 자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지원내용 은행이자 + 비과세 + 정부기여금
* 납입금액에 비례하여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
상품내용 월 최대 70만 원 납입, 5년 만기 자유적립적금
금리 각 은행 별 상이 (4.5% ~ 6%)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상세>

 

개인소득 기준 정부기여금 산정 기준 정부기여금 지급비율
(매칭비율)
총급여 기준 종합소득 기준
2,400만 원 이하 1,600만 원 이하 월 적금 납입액과
40만원 중 적은 금액
정부기여금 산정
기준금액의 6.0%
2,400만 원 초과
3,600만 원 이하
1,600만 원 초과
2,600만 원 이하
월 적금 납입액과
50만원 중 적은 금액
정부기여금 산정
기준금액의 4.6%
2,400만 원 초과
3,600만 원 이하
1,600만 원 초과
2,600만 원 이하
월 적금 납입액과
60만원 중 적은 금액
정부기여금 산정
기준금액의 3.7%
2,400만 원 초과
3,600만 원 이하
1,600만 원 초과
2,600만 원 이하
월 적금 납입액과
70만원 중 적은 금액
정부기여금 산정
기준금액의 3.0%
2,400만 원 초과 1,600만 원 초과 미지급 미지급

 

이렇듯 청년도약계좌는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최대 6%에서 최소 3%까지 매칭이 되어 지급되는 방식입니다. 40만 원 이하로 납입한다고 해도 정부기여금은 소득구간에 따라 지급되니 자유적금인 것을 최대한 활용하여 매달 자신의 상황에 맞게 납입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만합니다.

 

3.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연계시 만기금액

청년도약계좌는 5년을 만기로 설정하여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저축을 지속해야 한다는 점이 가장 많이 고려해 볼 부분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청년희망적금 연계는 만기일인 5년이라는 긴 기간을 최대 2년을 완화해 주는 정책이라고 볼 수 있지만 청년도약계좌의 만기금액 수령일이 2년이 앞당겨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밑의 표는 청년도약계좌 소득구간별 만기금액을 설명한 표입니다.

 

<청년도약계좌 만기금액 70만 원 납입 기준>

 

소득구간 정부기여금 원금이자 기여금 이자 만기수령액
2,400만 원 이하 144만 원 640만 원
(특별우대금리)
16만 원 5,000만 원
3,600만 원 이하 138만 원 587만 원 15만 원 4,938만 원
4,800만 원 이하 132만 원 14만 원 4,931만 원
6,000만 원 이하 126만 원 13만 원 4,924만 원
7,500만 원 이하 미지급 미지급 4,787만 원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자가 최대 1,680만 원을 일시납입 했다는 기준으로 24개월 동안 납입이 필요 없으므로 2년간의 적금 납입 부담은 줄어들겠지만 25개월 차부터 월 70만 원을 납입한다면 결국 수령하게 되는 금액은 최초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가 일반적(금리 5.5%, 70만 원 납입)으로 수령하게 되는 4,940만 원과 차이가 없는 금액을 수령하게 됩니다.

 

*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자가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하여 일시납입(1,260만 원)을 한다고 해도 18개월을 납입 인정해 준다는 것이며 월 70만 원 납입을 이어가서 5년 뒤 수령하게 될 만기금액에는 최초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와 차이가 없다는 결론을 낼 수 있습니다.

 

4. 글을 마무리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연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일이 곧 다가오는데 이를 새로운 청년 적금 상품인 청년도약계좌에 연계할 수 있다는 점은 꽤나 구미가 당길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

 

이에 대해서 고려해 볼 부분은 청년도약계좌는 납입기간이 5년이며,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을 일시납입 한다고 하더라도 청년도약계좌 만기금액 수령일이 앞당겨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두 상품에 대해서 연계를 해야 할지 말지에 대한 부분은 전적으로 개인에게 판단책임이 있습니다. 제 포스팅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긴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반응형